아동발달클리닉

발달지연, 장애를 보이는 아동들은 연령별 발단 수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이며, 그에 따른 적절하고 구체적인 개입이 중요합니다.
해솔정신건강의학과의원은 발달 지연, 자폐 스펙트럼 장애 및 정상적인 발달의 어려움을 가진 아이들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치료, 상호작용 치료 놀이, 놀이치료, 특수 인지치료, 부모 교육 등을 시행하고 있습니다. 각 아동의 발달 상태(인지발달, 언어발달, 사회적 상호작용, 정서상태)에 따라 개별적 맞춤치료로 접근을 합니다.
다음은 가장 흔한 발달 장애 중 몇 가지이며, 다음의 장애 증상들은 병존할 수도 있고 아이가 발달하면서, 시간의 흐름에 따라 조금씩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.
지적장애
- 표준화된 지능검사로 측정하였을 때 지능 지수가 70미만인 경우를 말합니다.
- 지적장애를 진단함에 있어 지능 지수 뿐만 아니라 사회적응 수준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합니다. 예를 들어 학령기에는 학습 수준이나 또래 관계 등의 사회적응 수준이 척도가 됩니다. 더 어린 나이에는 그 나이에 성취해야 할 인지발달이 늦은 경우로 평가합니다.
- 지적장애는 18세 이전에 진단되어야 하는데, 이 연령은 한 개인이 성인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뇌 발달과 핵심적인 심리사회적 발달이 완수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.
- 지적장애는 지능저하와 적응장애 뿐 아니라, 각종 정신 및 행동장애, 신경학적 장애를 동반하는 복합 장애입니다. 다른 정신 장애가 공존할 확률이 일반인보다 3-4배 높습니다.

자폐 스펙트럼 장애
사회적 상호작용의
지속적 결함
다양한 맥락에 걸쳐서, 사회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에 있어서 지속적인 결함을 나타냅니다. 이러한 결함은 현재 또는 과거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나타납니다.
- 사회적, 정서적 상호작용의 결함을 나타낸다.
-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해 사용되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결함을 나타낸다.
- 대인관계를 발달시키고 유지하고 이해하는데 결함이 나타난다.
행동, 흥미, 활동의
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
행동, 흥미, 활동에 있어서,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패턴이 다음 4가지 중 2가지 이상에서 나타납니다.
- 정형화된 혹은 반복적인 운동 동작, 물체 사용이나 언어 사용
- 동일한 것에 대한 고집, 일상적인 것에 대한 완고한 집착, 또는 언어적, 비언어적 행동의 의식화된 패턴을 나타낸다.
- 매우 제한적이고 고정된 흥미를 지니는데, 그 강도나 초점이 비정상적이다.
- 감각적 자극에 대한 과도한 혹은 과소한 반응, 환경의 감각적 측면에 대해서 비정상적인 관심을 나타낸다.
.